
요즘 SNS나 커뮤니티에 PTSD 라는 말이 자주 보이는데요, PTSD 뜻 PTSD는 어떤 말의 약자이고 무슨 뜻을 가지고 있을까요? ㅣPTSD 뜻 은? PTSD는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의 약자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말합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는 말로는 단번에 무슨 증상을 말하는지 알기 어렵지만 PTSD의 T가 traumatic(트라우마틱)의 약자인 것을 보면 대략 무슨 의미인지 유추가 됩니다. 트라우마라고 하면 강한 정신적 충격으로 인해 정신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는 질환을 말하는데, 심각한 정신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흔히 일상생활에서 어떤 일이 트라우마가 되었다는 식으로 많이 사용되는 말입니다. 그런만큼 농담의 소재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요즘은 트..

'다음에 뵙겠습니다.'와 '다음에 봽겠습니다.' 둘 중 어느 게 맞는 말일까요? 매일 쓰는 말이지만 맞춤법이 헷갈리는 것들이 있습니다. 보자는 말보다 더 겸양의 뜻을 나타낼 때는 뵙다가 맞을까요 봽다가 맞을까요. ㅣ뵙겠습니다 봽겠습니다 맞는 말은? 정답부터 말하자면 '다음에 뵙겠습니다.'가 맞는 말입니다. 뵙겠습니다의 기본형인 뵙다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았습니다. '뵙다'는 웃어른을 대하여 보다. '뵈다'보다 더 겸양의 뜻을 나타낸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러니까 일상생활에서 웃어른이나 예의를 차려야 하는 상대에게 다음에 보자고 말할 때는 '뵙겠습니다', '뵐게요' 등으로 써야 맞습니다. 그렇다고 '봬요'가 문법적으로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닙니다. '봬요'는 '뵈어요'의 준말이므로 문법적으로는 맞습니다. ..

연금복권720 실수령액 은 얼마일까요? 회사에서 일에, 사람에 치이고 나면 정말 간절한 마음으로 복권을 구매하곤 합니다. 이 복권만 당첨되면 당장 사표를 쓰겠다고 결심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죠. ㅣ연금복권720 실수령액 은 얼마일까? 당첨되지 않아도 당첨되고 난 뒤의 일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기분이 좀 나아져서 가끔 소액으로 복권을 구매하곤 합니다. 복권에도 종류가 많은데 오늘은 연금복권720의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연금복권은 이름 그대로 당첨금을 일시에 받는 것이 아니라 연금처럼 매달 일정 기간 동안 나눠 지급 받는 방식입니다. 일시에 목돈을 받을 수는 없지만 그덕분에 한번에 당첨금을 다 잃을 염려도 없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금복권 1등에 당첨되면 매달 700만원씩 20년간 지급받게 되는데..

맛있고 만들기도 간편해 혼자 살면 라면을 자주 끓여 먹게 됩니다. 1개를 끓일 때는 라면 봉지에 물을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나와 있어 별 문제가 없는데, 두 개를 끓일 때는 어떨까요? ㅣ라면 2개 물양 얼마나 넣어야 할까? 라면 1개를 끓일 때 권장되는 물의 양은 보통 500ml 입니다. 라면 봉지 뒤에 라면마다 적당한 물 양이 나와 있습니다. 500ml 보다 조금 적거나 조금 더 많거나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500ml 정도 입니다. 그러면 라면 2개를 끓일 때 물양은 간단하게 1000ml를 넣으면 될까요? 입맛에 따라 다르겠지만 라면 2개 끓을 때 물을 1000ml 넣으면 너무 싱거울 수 있습니다. 라면 2개에 권장되는 물의 양은 800~880ml 정도입니다. 그 이유는 물을 끓일 때는 물이 끓으면..

허리둘레 재는법 어떻게 재야 똑바로 잴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이제 날이 더워지는게 여름이 다가온게 실감이 납니다. 얇은 여름 옷을 꺼내 입으려니 지난 겨울 동안 착실히 붙은 살이 신경쓰입니다. ㅣ올바른 허리둘레 재는법 알아봅시다. 허리둘레를 잴때 어디쯤을 재야 하는지 좀 헷갈립니다. 갈비뼈쯤? 아니면 배꼽쯤? 어디를 기준으로 재야할까요? WHO에서 제시한 복부둘레 재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먼저, 양발을 25~30cm 정도로 벌리고 섭니다. 이때, 체중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두 발에 체중을 균등히 분배시켜야 합니다. 이 상태에서 숨을 편안하게 내쉬고 측정합니다. 측정 위치는 갈비뼈 가장 아래 위치와 골반의 가장 높은 위치의 중간을 재는데, 줄자가 허리를 조이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이렇게 측정..

태권도 띠 순서 를 알아보겠습니다. 태권도는 우리의 전통 무예이고 워낙 대중적이어서 어렸을때 한번쯤은 도장에 다녔던 경험이 있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태권도 하면 흰 도복에 검은 띠를 매고 있는 모습이 쉽게 떠오르는데요, 익히 알고 있듯이 이 띠 색깔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ㅣ태권도 띠 순서 알아보기 태권도 띠의 색은 그 색별로 의미를 가지고 있고 띠의 색은 매고 있는 사람의 수련 정도를 가늠해볼 수 있게 합니다. 예컨대 흰 띠를 매고 있다면 그 사람은 태권도를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다고 추측할 수 있고, 검은 띠를 매고 있다면 상당한 기간 태권도를 수련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공식적으로 태권도 띠 색은 다섯가지로 순서대로 흰색 > 노란색 > 파란색 > 빨간색 > 검은색 입니다. 맨 처음 태권도를 배울..

날짜를 세거나 어떤 기간을 이야기 할때 1일, 2일 이렇게 숫자를 쓸때도 있지만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등 순우리말로 쓸때도 많이 있습니다. ㅣ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등 순우리말 날짜 세는 법 이렇게 순우리말로 날짜를 셀 경우 자주 사용하는 하루 이틀은 별로 어려울 것이 없지만 사흘부터 헷갈려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사흘을 4일이라고 알고 있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아마 사흘에 '사'가 숫자 '4'를 연상시키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이 되는데요. 사흘은 3일이고 나흘이 4일입니다. 1일부터 30일까지 순우리말 날짜세는 법 보기 쉽게 표로 알아보겠습니다. 1일 하루 11일 열하루 21일 스무하루 2일 이틀 12일 열이틀 22일 스무이틀 3일 사흘 13일 열사흘 23일 스무사흘 4일 나흘 ..

2021년은 신축년, 흰 소의 해인데요, 흰 소의 해도 거의 절반이 지났습니다. 흰소의 해에 돼지띠 나이 는 몇 살일까요? 출생연도별로 알아보았습니다. ㅣ2021년 기준 돼지띠 나이 오늘 알아볼 돼지띠 나이는 태어나자마자 1살이 되는 한국식 세는 나이 기준입니다. 공공 문서에는 만 나이를 써야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나이를 묻고 답할 때는 거의 세는 나이를 말하기 때문에 세는 나이로 기재했습니다. 만 나이를 알고 싶다면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생일이 지났다면 [세는 나이-1],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세는 나이-2]를 하면 만 나이입니다. 그럼 바로 출생연도별 돼지띠 나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출생연도 나이 1935년 87세 1947년 75세 1959년 63세 1971년 51세 1983년 39세 199..

2021년도 벌써 거의 절반이 지났습니다. 2021년은 신축년 흰 소의 해인데요, 흰 소의 해에 개띠 나이 는 몇 살일까요? 출생연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ㅣ2021년 기준 개띠 나이 오늘 알아볼 개띠 나이는 만 나이가 아닌 한국식 세는 나이입니다. 세는 나이는 태어나자마자 1살이 되는 나이로 공식적인 문서에서 사용하지는 않지만 일상적으로 나이를 묻고 대답할때 대부분 세는 나이를 말하기 때문에 세는 나이를 기준으로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만 나이가 궁금하다면 간단하게 계산 할 수 있습니다. 생일이 지났다면 [세는 나이-1],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세는 나이-2] 를 하면 됩니다. 그럼 바로 개띠 나이 알아보겠습니다. 출생연도 나이 1934년 88세 1946년 76세 1958년 64세 1970년 52세 1..

2021년은 신축년 흰 소의 해인데요, 올해도 거의 절반이 지나갔습니다. 닭띠 나이 는 올해 몇 살일까요? 출생연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ㅣ2021년 기준 닭띠 나이 잠깐 깨알 상식 하나. 띠는 양력이나 음력 1월 1일이 아니라 입춘을 기준으로 합니다. 입춘은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로 한 해의 시작이므로 입춘을 기준으로 띠가 바뀐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같은 해에 태어났어도 입춘 전에 태어났으면 전년도 띠가 됩니다. 예를 들어 같은 1993년생이라도 1월 생은 닭띠가 아니라 원숭이띠가 되는 것입니다. 그럼 바로 닭띠 나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출생연도 나이 1933년 89세 1945년 77세 1957년 65세 1969년 53세 1981년 41세 1993년 29세 2005년 17세 2017년 5세 표의 나이는 ..
- Total
- Today
- Yesterday